오늘 교육내용^^*
내 얼굴의 그림자를 찾아서
역기능 가정과 자존감 형성
부모의 성향이나 자질에 따라 또는 형제가 많은 경우에 자녀들은
각각 다른 모습으로 자신을 키워나간다. 마치 숲을 보면 다양한
나무와 풀들이 저마다의 모양으로 자기 자리에 뿌리를 내리며 자리
잡아가는 것처럼. 물론, 인간들은 여개에 자신이 미리 알아서
기선을 자으려고 오기를 부리던가, 아님 상대에게 상처를 받아
주눅든 모습이든가가 가미되긴 한다.
* 역기능 가정
사람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신체적 욕구 - 과일 맛잇는 것 등
먹는 것의 절제, 스킨쉽 같은 비빌 언덕 없음
정서적 욕구 - 산타크로스가 없음을 알게 됨
*역기는 가정의 핵심 이슈
역기능 안에 비정상적 사람, 이로 인해 다른 구성원의 다른 역할을
떠 안게 된다.
1. 역기능 가족 구성원의 가정에서의 역할
- 약물 의존자 / 중독자
- 주요 가동력자
- 가족 영웅
- 희생양
- 잃어버린 아이
- 마스코트
경직된 나의 역사를 찾아서 - 화의 해결
* Disease to Please( 남 기쁘게 해 주는 병, 화를 못 내는 병)
남자는 대체로 과하게 내고 여자는 모자란 편.
화 다스리려면 심호흡을 길게 5번 한다.
* 화의 위치 - 생리적 탯줄을 못 끊는데 -- 희망을 가져라.
분노와 갈등에 대한 두려움은 이란성 쌍둥이
두려움 해소를 휘해 - 알랑거리기
- 늘 웃는다.
* 원리
1. 事 →感(=화?) = 잘 모른다.
자신의 분노를 모르면 타인의 고통에도 둔하다.
- 事 →思(화의 역사) →感(=화) →行(행동)
모든 두려움은 믿음의 결핍으로부터 나온다. -by간디
믿음 = 나의 존재 + 나의 능력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
-過法 →思 : 만남 →관계 →지님
- 過去 →思 : 만남 →관계 →지님
2. 事 →火
- 事 →思 →火 - 過法 →思
*순서 : 긴장기 →폭발기 →해소기
*무엇 때문에 화가 나는 것이 아니고 무엇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화를 내는 것이다. 화의 역사는 순환고리임(일반 역사는 직선인데)
부정적인 4감정
1. 불안 - 미래에 대한 두려움 - 과장
2. 분노 - 현재에 대한 두려움
3. 죄책감 - must - 과거 - 불안, 두려움 수치감
4. 우울증 - '나 좀 봐줘' - 관심을 가져달라
사건 - 감정 - 사건(타인의 개입) - 생각 -감정 - 행동
역기능 과정 깨달음의 4단계
1.내가 받은 것이 있다.(무심한 대우를 받고 있다)
2.내식대로 받았다. -자기해석 -분노
3.지금까지 내가 살아온 패턴화
4.받은대로 준다
명화숙 교수님 (대전대 )의 분노 조절교육 내용정리